멘토가 되어 가장 힘들어 하는 부분이 초기 관계 형성 입니다. 관계형성은 멘티의 말을 경청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더 나은 경청자가 되기 위해 길러야 할 5가지 습관은 멘토-멘티 멘토링 대화에서 효과적인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핵심 기술입니다. 아래에서는 각 습관 만들기와 함께 이를 시각적으로 기억하고 훈련하는 데 유용한 손가락 기억 도구를 제시합니다. 각 경청 기술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함께 실제 대화에서 적용할 수 있는 추가 예시를 제공합니다.
기억 도구: 멘토링 대화 중 효과적인 경청을 위한 5가지 기술을 기억하기 위해, 손 그림을 그려 각 손가락에 아래와 같이 라벨링하여 활용합니다.
- 엄지: 침묵 (Silence)
- 검지: 상대방에게 집중 (Focus on Them)
- 중지: 최소한의 반응 (Minimal Response)
- 약지: 반영 (Reflect) – 아름다운 다이아몬드 반지 연상
- 새끼손가락: 좋은 질문하기 (Ask good questions)
침묵 (Silence)
- 습관: 상대방이 말하는 동안 끼어들거나 자신의 이야기, 의견, 조언을 덧붙이지 않습니다. 그들이 온전히 말할 수 있도록 기다립니다.
- 의미: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조용히 듣는 것입니다. 상대방에게 생각할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며, 존중의 표현입니다.
- 훈련: 엄지손가락을 턱에 대고 “침묵”이라고 마음속으로 되뇌입니다. 검지 손가락을 입술에 가져다 대는 동작은 ‘쉿’하며 침묵을 유지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상기시켜 줍니다. 3번 소리 내어 봅니다. 따라해 보세요. “침묵, 침묵, 침묵”
멘티가 어려운 직장 내 인간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며 잠시 말을 멈췄을 때, 조급하게 다음 질문을 던지기보다는 편안한 표정으로 기다립니다. 멘티는 이 침묵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거나 미처 말하지 못했던 중요한 부분을 덧붙일 수 있습니다.
멘티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도중 머뭇거릴 때, “생각이 잘 안 나시는 것 같네요. 천천히 말씀하셔도 괜찮습니다.”라고 말하기보다는, 조용히 기다리며 그가 스스로 생각을 정리하여 다시 말을 이어갈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상대방에게 집중 (Focus on Them)
- 습관: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말하지 않는 내용(비언어적 소통)에도 주의를 기울입니다. 그들의 진정한 의미, 감정, 관점을 파악하려고 노력하며, 자신의 판단을 유보합니다. 그들의 가치관, 우선순위, 필요, 욕구를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 의미: 온전히 집중함으로써 상대방의 메시지를 더 깊이 이해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게 됩니다.
- 훈련: 검지 손가락을 뻗은 채, 손을 자신에게서 멀리하여 가상의 멘티를 향하게 하고 “상대방에게 집중”이라고 마음속으로 되뇌입니다. 이 동작을 반복하며 상대방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시각적으로 상기합니다. 소리내어 봅니다. “집중, 집중, 집중!”
멘티가 자신의 커리어 고민을 이야기하면서 어깨를 움츠리고 불안한 표정을 짓는다면, 단순히 말의 내용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불안감을 인지하고 “이야기하시는 동안 조금 힘들어 보이시네요. 혹시 이 부분에 대해 더 불편한 감정이 있으신가요?”와 같이 그의 감정을 먼저 헤아리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멘티가 성공 경험을 이야기하면서도 목소리가 밝지 않거나 미소를 짓지 않는다면, 그의 말과 감정 사이의 불일치를 감지하고 “정말 좋은 성과를 거두셨네요. 그런데 말씀을 들으니 왠지 완전히 기뻐하시는 것 같지는 않아요. 혹시 다른 마음이 있으신가요?”와 같이 조심스럽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반응 (Minimal Response)
- 습관: 상대방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완전히 집중하고 듣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긍정적인 비언어적 신호(끄덕임, 눈 맞춤 등)를 보내고, “음-음”, “알겠습니다”, “더 말씀해 주세요”와 같이 짧은 언어적 반응을 사용하여 상대방이 더 많은 이야기를 하도록 격려합니다.
- 의미: 최소한의 반응은 상대방이 편안하게 자신의 생각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고, 경청자가 그의 이야기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줍니다.
- 훈련: 검지 손가락을 오므리고 중지 손가락으로 엄지손가락 아래의 부드러운 부분을 부드럽게 누르면서 “최소한의 반응”이라고 세 번 마음속으로 반복합니다.
멘티가 자신의 힘든 과거 경험을 이야기하는 동안, “아…”, “정말 힘드셨겠네요…”, “그랬군요…”와 같은 짧은 공감의 표현과 함께 따뜻한 눈빛을 보내는 것은, 멘티가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도록 돕고 경청자가 그의 이야기에 깊이 공감하고 있음을 전달합니다.
멘티가 자신의 복잡한 생각을 정리하며 이야기할 때, “네, 이해가 됩니다.”, “계속 말씀해 주세요.”와 같은 짧은 격려는, 멘티가 자신의 생각을 막힘없이 이어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영 (Reflect)
- 습관: 자신의 차례가 왔을 때 조언하려는 충동을 억누르고, 대신 상대방이 말한 내용의 핵심과 감정을 자신의 말로 되돌려줍니다. 그들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바꿔 말하거나 요약하여 이해를 확인하고 공감을 표현합니다.
- 의미: 반영은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며, 스스로의 생각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훈련: 약지를 아주 조금 움직여 봅니다. 아름다운 다이아몬드 반지가 있다고 상상하고, 그것이 당신에게 상대방의 말과 감정을 되돌아보는 “반영”을 상기시켜 준다고 생각하며 “반영, 반영, 반영”이라고 세 번 마음속으로 반복합니다.
멘티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제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 같아서 좀 답답해요.”라고 말했을 때,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서 답답함을 느끼시는군요.”라고 감정을 반영해 주는 것은, 멘티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고 다음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멘티가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 방법이 최선인 것 같은데, 팀장님은 다른 의견이신 것 같아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라고 말했을 때, “팀장님의 의견과 당신의 의견이 달라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시군요.”라고 핵심 내용을 요약하여 반영해 주는 것은, 멘티가 자신의 상황을 명확히 인식하고 다음 단계를 생각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좋은 질문하기 (Ask good questions)
- 습관: 반영을 통해 얻은 이해를 바탕으로, 상대방의 사고를 확장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돕는 개방형 질문을 던집니다. 존중하는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며, 질문 후에는 다시 주의 깊게 경청합니다.
- 의미: 좋은 질문은 대화를 더 깊이 있게 만들고, 상대방이 자신의 상황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유도하며,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훈련: 새끼손가락을 들어 올립니다. 당신은 잘 경청했고, 더 깊이 들어가기 위해 질문해야 함을 상기하며, 이러한 질문은 존중하는 호기심을 가진 개방형 질문임을 기억하고 “질문”이라고 세 번 마음속으로 반복합니다.
멘티가 직장 내 목표 설정에 어려움을 토로할 때, “어떤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당신에게 가장 의미 있을까요?” 또는 “그 목표를 달성했을 때 당신의 모습은 어떨 것이라고 상상하시나요?”와 같은 개방형 질문은, 멘티 스스로 자신의 가치관과 동기를 탐색하여 의미 있는 목표를 설정하도록 돕습니다.
멘티가 팀과의 협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이야기할 때, “팀원들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 또는 “만약 팀원들이 당신의 입장을 이해한다면 어떤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와 같은 질문은, 멘티 스스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새로운 관점을 갖도록 유도합니다.
이러한 추가 예시와 함께 손가락 기억 도구를 활용한 훈련을 통해, 멘토-멘티 대화에서 효과적인 경청 기술을 더욱 능숙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상호 깊이 있는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더욱 의미 있는 멘토링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멘토가 다음 단계로 해야 할 것
- 제시된 5가지 경청 기술(침묵, 집중, 최소 반응, 반영, 질문)을 실제 대화에서 의식적으로 연습하고 적용해 보십시오.
- 손가락 기억 도구를 활용하여 각 기술을 시각적으로 연상하고, 멘토링뿐 아니라 일상적인 소통에서도 활용해 보십시오.
- 자신의 경청 습관을 되돌아보고, 개선할 부분을 파악하여 꾸준히 노력하십시오.
“더 나은 경청은 관계를 깊게 하고, 이해를 넓힙니다. 오늘부터 5가지 습관을 실천해 보세요. 당신의 소통 능력이 향상될 것입니다.”
**********
“말하기보다 들어주는 사람이 되세요!” – 5가지 경청 기술 훈련으로 관계를 변화시키고, 진정한 소통 전문가로 거듭나는 비결,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댓글을 남겨주세요